티스토리 뷰

  시중에 다양한 구강관리용품이 있습니다. 치실, 치간칫솔과 같은 용품들에 대해서는 이미 포스팅을 했으니 오늘은 혀 클리너와 Uni tuft의 정의, 효과, 적응증, 사용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혀클리너
혀클리너란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수동식 면도기와 같은 형태. 혀의 배면은 음식물 잔사나 세균의 침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혀는 세균의 저장과 증식에 유리한 장소로 혀 관리가 부족하면 혀에 설태가 끼고 균열설이나 모설 같은 증상이 생김

 

혀 닦기 효과

1. 구강 내 세균성장 억제

2. 구강 내 세균 수 감소

3. 구취 발생 감소

4. 음식의 맛을 더 잘 느낄 수 있음

혀클리너 사용방법

1. 칫솔모를 목구멍 쪽의 혀 배면에 위치시킴

2. 약한 압력을 주어 구강 바깥쪽으로 혀 배면을 쓸어내림

+ 혀 클리너의 경우, 혀를 내밀고 혀 클리너를 혀 배면의 뒤쪽에 위치시킨 후 약간의 압력을 가하면서 구강 밖으로 쓸어내림

 

 

Uni tuft
Uni tuft란

Compact tuft. 잇솔질 시 칫솔이 닿기 어려운 최후방 구치를 닦기 위해 칫솔의 끝부분에만 솔이 달려있는 칫솔

Uni tuft 적응증

1. Type 3 치간공극

2. 치주질환이 더 진행되어 치간공극의 잇몸이 손상된 상태

3. 최후방 구치의 원심면

4. 치아가 없는 부위에 인접해 있는 치면

5. 치은퇴축이나 치주수술 후 노출된 치근이개부와 홈이 있는 치근면

6. 임플란트, 교정용 와이어와 브라켓 주위

 

Uni tuft 사용방법

1. 치아와 잇몸 경계 부분: 치아와 잇몸의 경계에 모 끝을 대고 치아의 형태를 따라 닦음

2. 치아와 치아 사이: 치아와 치아 사이에 모 끝을 대고 조금씩 상하 왕복 운동으로 닦음

3. 어금니 안쪽, 사랑니: 원추형 모의 측면을 대고 닦음

4. 교정 장치 주변: 브라켓과 브라켓 사이 및 교정장치 주변을 모끝을 이용하여 닦음